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바스프링웹공부(2024)/자바

(21)
2024.08.27. 생성자, this * 이클립스 : 생성자 자동 생성 단축키 : Alt + Shift + S -> O * 생성자 :- 클래스의 세번째 구성요소.(1. 멤버변수 인스턴스 생성 시 최초로 사용된다.- 생성자는 인스턴스를 생성(new 객체)하면 호출된다.  - 생성자를 아무것도 정의 하지 않으면 컴파일러에 의해 자동으로 기본 생성자가 생성됨. - 기본생성자: 파라미터 없음,중괄호 블록내에 아무 코드도 없음 => 아무것도 전달받지 않으며,아무 작업도 수행하지 않음. public class Ex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new Person(); // 이거만 해도 생성자가 호출되면서 syso가 찍힌다. }}class Person { //멤버변수 String name; ..
2024.08.26.클래스, 인스턴스 * 클래스 정의- 객체를 나타내는 (생성하는, 찍어낼) 설계도! - 표현하려는 대상 객체의 이름을 지정하여 클래스를 정의함.- 클래스 내의 멤버변수는 인스턴스 생성 시 각 인스턴스마다 별도의 공간을 할당    => 이때, 각 멤버변수는 자동으로 기본값으로 초기화가 수행됨. - 클래스 내의 메서드는 인스턴스 생성 후 호출을 통해 작업을 수행하게 됨. - 클래스 정의 후에는 반드시 인스턴스화를 통해 메모리 상에 실제 객체를 생성해야 함.   [ 기본문법 ] [접근제한자] class 클래스명 {    멤버변수(= 객체의 정보를 저장할 변수 = 속성 = 필드)    생성자(= 객체 생성 시 객체의 정보를 초기화하는 역할)    메서드(= 객체의 수행할 동작 = 기능) }*클래스의 구성요소1. 멤버변수(필드)  ..
2024.08.12. 메서드 * 메서드(method)- 객체의 동작을 나타내는 최소 단위 - 메서드를 정의한 후에는 반드시 호출되어야만 사용가능. - main() 메서드도 메서드의 일종  => JVM에 의해 자동으로 호출되는 메서드 = 프로그램의 시작점. - 메서드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값을 전달인자(Argument)라고 하며   이 값을 메서드에서 전달 받기 위해 선언하는 변수를 매개변수(Parameter)라고 함.    => 이때, 메서드 호출 시 전달하는 값이 없을 수도 있다.    => 메서드를 호출할 때 반드시 선언부의 매개변수 타입과 갯수에 맞게 데이터를 전달하여 호출해야 한다. - 메서드 수행이 끝날 때 호출한 곳으로 전달할 값을 리턴값이라고 하며   리턴값에 해당하는 데이터 타입을 리턴 타입 부분에 명시해야 함.   ..
2024.08.09. 다차원 배열 * 다차원 배열  - 1차원 배열 여러개가 모여 2차원 이상의 배열을 이루는 것.   - 일반적으로 다차원 배열 = 2차원 배열을 의미  * 2차원 배열   - 행, 열의 구조로 이루어진 배열 (이해하기 쉽게 생각하면)   -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감. = 열     열 공간의 주소를 저장하는 공간 = 행   - 배열 크기 :      1) 행크기 : 배열명.length      2) 열크기 : 배열명[행인덱스].length, ex. arr[0].length      데이터타입[][] 변수명;      변수명 = new 데이터타입[행크기][열크기];      변수명[행인덱스][열인덱스];     데이터타입[][] 변수명 = {   {1, 2, 3},    {4, 5, 6},    {7, 8, 9}  ..
2024.08.06. 배열 1 배열(Array)  :  같은 타입 데이터 여러개를 하나의 변수명을 사용하여 연속된 공간으로 다루는 것.    1. 같은 데이터타입만 하나의 배열로 저장가능   2. 기본 데이터타입과 참고 데이터타입 모두 배열로 저장 가능.   3. 배열명을 사용하여 여러 데이터 관리 가능.   4. 배열 내에 자동으로 부여되는 번호(인덱스 index)를 사용하여 배열의 각 요소 접근.       (인덱스 번호는 0부터 시작하여 배열크기보다 -1번까지 자동으로 부여됨.)      (ex. 배열 크기가 5일 경우 5개의 데이터 저장가능 & 인덱스는 0 ~ 4까지)   5. 배열 크기는 배열명. length 속성을 통해 얻을 수 있음.   6. 배열은 배열 '선언 -> 생성 -> 초기화' 과정을 거쳐서 사용함.    7. ..
2024.08.05. break && continue *break & continue;   - 반복문 내에서 반복문을 제어하는데 사용.   - 주로 조건식 (if문 등)과 결합하여 사용.     1. break문   - 현재 수행중인 반복문을 종료하고 빠져나가는데 사용.   - break문을 만나면 반복문 내의 break문 보다 아래쪽 문장실행을 생략하고 즉시 반복문을 빠져나감.     2. continue문   - 현재 수행중인 반복문의 특정 문장 실행을 생략하는데 사용.   - 현재 수행중인 반복문의 continue문 보다 아래쪽 문장 실행을 생략하고 다음 반복을 진행하기 위해 위로 점푸.   - for문에서 증감식으로 이동. while문은 다음 조건식으로 이동. int i = 1;while (i  * 중첩반복문중첩 반복문 내에서 break, conti..
2024.08.05. 중첩for *오늘의 문제*Q. 중첩 for문을 이용하여 아래의 모양을 만들어보시오./* * ***** i:0 j:5 = 합이 5 = 5-0 * **** i:1 j:4 = 합이 5 ....= 5-1 * *** i:2 j:3 * ** i:3 j:2 * * */
2024.08.02. 반복문( for문, 중첩for문 ) * for 문  for (초기식; 조건식; 증감식) { // 조건식이 true 일 때 반복 실행할 문장들... } //=> 실행순서 : 초기식 -> 조건식 -> 실행문 -> 증감식 -> 조건식 -> 실행문 ... // for문 안에서 선언된 i는 for문 종료후 제거됨. *중첩 for문 - for문 내에 또 다른 for문을 기술하여 반복 문장을 여러번 반복하는 문   for (초기식1; 조건식1; 증감식1) { for (초기식2; 조건식2; 증감식2) { } }  *이클립스 디버깅*- 브레이크포인트 만들기 + F11- "디버깅 편한 레이아웃으로 바꿀래?" 라고 물어봄. - 'switch' 클릭- 우측상단에 벌레모양 아이콘 나오면서 코드가 멈춤 - F6으로 한단계식 진행하면서 값 확인하기- 콘솔..

반응형